기록보기
구로동맹파업(구로지역노조연대파업) 사건

제목(Title) : 구로동맹파업(구로지역노조연대파업) 사건


Subject :


사건발생일 : 19850624


사건종료일 : 19850629


사건내용 : <사건경과>
-85. 04. 10, ‘노동운동탄압저지투쟁위원회’ 결성
-06.01, ‘구로지역노조민주화추진연합’(구민련) 결성
-06.22, 대우어패럴 노조 집행부 김준용(위원장), 강명자(사무장), 추재숙(여성부장) 경찰에 연행
-06.23, 대우어패럴, 가리봉전자, 효성물산, 선일섬유 노조 동맹파업 결의
-06.24~29, 대우어패럴 파업
-06.24~26, 효성물산 파업
-06.24~27, 가리봉전자, 선일섬유 파업
-6.25~26일, 남성전기, 세진전자, 롬코리아, 준법농성
-06.27~28, 삼성제약, 중식거부
-06.28, 부흥사 파업

<사건배경>
80년 초 이후의 경제불황은 전두환 정권의 저임금유지정책과 경총의 물가인상을 따르지 못하는 임금가이드라인책 등 70년대식 노동자통제를 지속화시켰다. 그러나 이에 대한 민중의 반발은 83년말과 84초부터 정부로부터 유화정책을 이끌어냈고, 새롭게 형성된 정치공간 속에서 학생?재야운동과 함께 민주노조운동이 부활하기 시작했다. 84년 ‘한국노동자복지협의회(한국노협)’의 창립과 청계피복노조의 부활은 이러한 노동운동 재활성화의 상징체이기도 했다. 전국적인 어용노조민주화투쟁은 200여개의 신규노조를 탄생시켰다. 이와 함께 구로공단지역의 노동운동 또한 84년 후반에 들어서면부터 민주노조 인정투쟁을 통해 새로운 활기를 되찾기 시작했다. 85년초부터는 임금인상투쟁에 성공하는 노조들이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4월 10일에는 이 투쟁과정에서 해고된 노동자들을 중심으로 ‘노동운동탄압저지투쟁위원회’가, 6월1일에는 ‘구로지역노조민주화추진위원회’가 차례대로 결성되었다. (민중석, 『남한노동운동사①』, 들불, 1989, 158쪽) 또한 5월1일, 60년대 이후 최초로 영등포에서 노동절행사를 개최하고 가두투쟁을 전개하는 등 구로지역의 노동운동은 70년대말, 80년초(노동계 정화조치) 이후 단절된 전통을 새롭게 부활시키고 있었다.
일주일간 구로공단을 뒤흔든 ‘구로동맹파업’의 결정적 계기는 대우어패럴 노조간부들에 대한 경찰의 구속조처였다. 6월22일 경찰은 4월말의 임금인상투쟁이 불법이라는 이유로 위원장 김준용 등 3명을 구속했고 24일부터 대우어패럴 노동자들의 항의파업이 시작되었다. 이러한 사태는 자연스럽게 이 지역 노동자들과 민주노조운동에게 ‘위기의 동일운명체’ 의식을 불어넣어 주었다. 이미 대우어패럴 이외의 타 노조간부들에게도 사전구속영장이 발부되어 있었던 것이다.

<사건내용>
구속 이틀 후인 24일 대우어패럴 항의파업과 효성물산, 가리봉전자, 선일섬유의 동맹파업을 필두로, 25일 남성전기, 세진전자, 롬코리아의 준법농성, 27일 삼성제약의 중식거부, 28일 부흥사의 파업이 줄이었다. 6월24일 연대투쟁에 참여한 효성물산, 가리봉전자, 세진전자, 청계피복, 선일섬유 노조의 공동명의로 발표된 ‘노동조합탄압저지 결사투쟁선언문’은 구로공단 노동자들의 입장을 정확히 전달해주고 있다.
먼저, 선언문은 대우어패럴 사건에 대해서 “대우노동조합 탄압은 모두 민주노조에 대한 첫 신호이다. 오늘의 대우노동조합 탄압은 80년의 무시무시한 노동조합 탄압을 되새기게 한다. 80년 당시 현정권은 과거 70년대 열심히 싸워왔던 민주노조들을 하나씩 차례로 깨부숴버렸다. 80년 민주노조의 기수였던 청계피복노동조합을 필두로 반도 원풍 콘트롤데이타 등의 민주노조들이 각개격파당했다. 이제 저들은 70년대 민주노조들을 무참히 짓밟았던 그 간악한 술책을 되풀이하려고 하고 있다”(<노동조합탄압저지 결사투쟁선언>,『선언으로 본 80년대 민족?민주운동』, 신동아 1990년 1월호 특별부록, 70쪽) 라고 인식했다.
동맹파업의 요구사항은 여섯 가지로 다음과 같다.
“1. 정부당국은 대우어패럴노동조합 위원장 김준용 동지를 비롯한 구속자 전원을 즉각 석방하라! 2. 정부당국은 민주노동운동을 짓밟는 모든 악법(집회시위법 언론기본법 노동악법 등)을 즉각 철폐하라! 3. 정부당국은 부당해고자 전원을 즉각 복직시켜라! 4. 정부당국은 정책적인 어용노조 설립을 즉각 중단하라! 5. 정부당국은 임금동결정책을 포기하고 최저생계비를 보장하라! 6. 민주노동조합 파괴에 앞장서온 조철권 노동부장관은 즉각 물러가라!”(같은 자료, 71쪽)
이러한 50년대 이래 전례없는 동맹파업에 호응하여 민통련의 재야운동과 학생운동, 지방의 노동조합까지도 항의농성과 연대투쟁을 전개했다. 학생들은 대우어패럴 건너편 굴뚝에 올라가 ‘민주노조 탄압말라’는 등의 구호를 외치며 시위를 벌였고, 문익환 민통련 의장은 농성현장에 음식물을 반입하려다 제지당했으며, 창원 통일산업 노조의 문성현 위원장과 박철수 사무국장은 연대투쟁논의 중 경찰에 구속당하기도 했다. (심상정, <노동운동 암흑기를 뚫고 일어선 구로동맹파업>『이론과 실천』2002년 2월호, 민주노동당, 87~87쪽)
동맹파업에 대한 정부와 관련 회사측의 대응은 관련자에 대한 대량 구속 및 집단해고였다. 사측은 파업현장의 단수, 단전은 물론이고 파업중인 노동자들의 가족을 동원하여 해산을 종용하려 했고, 결국 대우어패럴 농성현장은 회사가 동원한 경비, 구사대에 의해 강제해산 당하고 말았다. 파업종료 후에는 무려 총 1,300여명의 노동자들을 집단해고시켰다. 정부는 노동자 44명을 구속시켰다.
구로동맹파업은 거시적으로는, 85년 4월의 대우자동차 파업과 함께, 87년 노동자대투쟁 이전의 노동운동의 고양기의 밑거름이 되었으며, 35년여만의 정치적 성격의 노동자투쟁으로 전화하여 두 달여 후 ‘서노련’ 이라는 노동자대중정치조직의 탄생에 기여했다. 실제로, 서노련을 결성한 4개 단체중에는 구로동맹파업의 해고노동자들로 구성된 ‘노동자연대투쟁연합’이 일 주체로 자리잡고 있었다.


사건사전번호 : H-1070



연관자료 : 이 자료에는 연관된 자료가 없습니다